Edg2

210813 비트코인, 막차 떠났나요? 한번 더 오나요? 🤷‍♂️

Длинная
Edg2 Обновлено   
BINANCE:BTCUSDT   Bitcoin / TetherUS
안녕하세요 마진퀸 팀의 Edg2 입니다.
입추가 지나고 조금 선선해진 것 같습니다.
매매하기 참 좋은 날씨입니다.
제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이 항상 익절만 하시길 기원합니다.

  • 지난 퍼블리쉬 복기
    👆 지난 퍼블리쉬 읽어보기

    지난 퍼블리쉬에서는 약 42.9k 구간을 터치 후 추가 상승의 메인 관점을 제시해드렸으며
    혹여 제시한 매수 구간의 지지에 실패하였을때의 하락시나리오 두개를 예비로 그려드렸습니다.
    다행히 메인 관점 그대로 진행이 되었고
    제가 생각한 1차 상승보다는 조금 더 강한 상승이 나온 후
    어제 밤 제가 그려드린대로의 리테스트 조정 후 현재 재차 상승중인 모습입니다.

    사실 퍼블리쉬 타이밍이 항상 매수존을 터치 한 후라서 아쉽다고 생각했는데
    오늘 퍼블리쉬도 역시 생각한 매수존을 터치 후 반등중이라서 아쉽습니다.
    그래도 지난 퍼블리쉬에는 리테스트 경로까지 그려드렸으니, 내용에 맞게 대응하신 분들은
    어제의 저점에서 매수가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 현재 상황
    👆 바이낸스 현물

    👆 바이낸스 선물

    👆 비트파이넥스

    👆 코인베이스

    위 차트를 각각 보시면 바이낸스 차트를 제외한 다른 두 거래소에서는
    정확하게 4월 14일 65K 에서부터 떨어지는 하락추세를 리테스트 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현물 선물 차트도 리테스트 비슷하게 조정은 받았지만 정확히 추세선 까지의 터치는 나오지 않은 상황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하락추세 돌파 후 마지막으로 봤던 매수 타점이었고
    어제 터치가 나왔으며 현재 상승중인 상황입니다.


  • 그렇다면 이제 매수 버튼에서는 손을 떼야하는가?

    분명히 많은 분들이 어제 조정에서 매수버튼을 누르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혹은 누르지 못했거나요.
    특히 바이낸스 거래소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애매한 리테스트 후 반등이 나왔으므로
    생각하신 매수 타점과 작은 차이로 놓치신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저 또한 매수 주문중 절반만 체결이 되었었구요.

    이제 고민을 해야할 시기입니다.
    정말 마지막 저점을 떠나보낸것인지, 앞으로 매수 기회는 없을 것인지(단타 관점 제외)
    지금이라도 붙잡아야 하는지, 슬슬 FOMO가 오기 시작할 때 입니다.

    제 답은, 확률은 낮지만 한번쯤은 다시 매수 기회를 줄 것이다 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의 큰 그림으로 봤을때 헤드앤숄더로 의심할 수 있는 모습을 띄고 있습니다.
    물론 이 패턴은 머리의 고점을 갱신할 경우 파훼되므로, 기준선을 작도 후 대응해야 할 것이구요.
    넥라인이 비스듬한 상승 추세선을 기준으로 삼고 있으므로
    넥라인과 머리의 고점을 기준으로 그은 상승 채널로 머리의 고점을 예측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해당 패턴과 비슷한 방향으로 그렸을 경우에, 정말로 헤드앤숄더 패턴을 완성시킬지
    지난번 처럼 넥라인에서 훼이크를 주고 강한 반등으로 밀어올릴지에 대해서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 7월 말 8월 초의 헤드엔숄더 훼이크

    퍼블리쉬에서도 언급 드렸는지 기억이 나질 않는데
    (아마 방송에서만 언급하고 퍼블리쉬에서는 늦게 설명드린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에서의 헤드 앤 숄더와 역 헤드 앤 숄더 패턴은 통상적으로
    상승추세중 또는 하락추세중 현 추세를 마무리하는 척 훼이크를 주고
    재차 추세를 지속해나갈때 등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난번 헤드엔숄더 역시 장기 하락 추세선 터치를 앞두고 등장해서
    많은 분들이 헤드앤숄더 패턴에 대해 걱정하셨지만 저는 넥라인에서의 반등을 예측하고
    매수로 대응했었습니다.

    다만, 넥라인에서의 반등을 예상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일이므로
    (패턴상 하락형 패턴이므로) 넥라인 근처까지 가격이 도달하였을 때
    매수세의 유입과 반등을 확인 후 대응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 만약 헤드앤숄더 패턴이 맞다면?
    헤드 앤 숄더, 역 헤드 앤 숄더의 패턴 목표값은 통상적으로
    넥라인 에서 정수리 까지 만큼의 하락 또는 상승을 목표값으로 책정합니다.

    현재 형성된 정수리에서 넥라인까지의 가격은 약 3,400$ 이며
    하방 이탈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대략적으로 40,000$ 대 후반 ~ 41,000$ 초반 정도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그란데 말입니다.
    만약 헤드 앤 숄더 패턴을 완성시키고 목표값을 향해 내려간다면
    어지간히 늦게 하방 이탈이 나오지 않는 이상
    어렵게 돌파한 장기 하락 추세를 재차 하방 이탈하는 움직임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경우 우리는 또 헤드 앤 숄더 목표값에 도달했을 때 매수를 할지 말지 고민하게 되겠지요?

    그러므로, 현재까지 서술한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보자면

    1. 헤드 앤 숄더 패턴의 머리 고점을 갱신하는지 못하는지 여부
    2. 머리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고 내려왔을 때 넥라인에서의 매수세 유입과 반등 여부
    3. 넥라인에서 하방 이탈이 나왔을 때 장기 하락추세선에서의 매수세 유입과 반등 여부
    4. 헤드 앤 숄더 패턴의 목표값 근처에 왔을 때 매수세 유입과 반등 여부

    이 네가지를 순서대로 확인해야 할 것입니다.
    1번부터 4번까지의 진행 과정을 하나씩 만족시키는지 여부에 따라서
    패턴의 완성을 기다릴 것인지, 넥라인에서 매수를 할 것인지, 하락추세에서 다시 매수를 받을 것인지,
    마지막으로 헤드 앤 숄더 목표값에서 매수를 받을 것인지 를 결정해볼 수 있습니다.


  • 그럼 저는 현 위치에서 하락을 보는 것인가요?
    답변부터 드리면 NO 입니다.
    위에서 서술한 헤드 앤 숄더 패턴은 현재 매수를 못하신 분들에게
    위로 또는 희망을 드리고자 서술한 내용이고, 저는 현 위치에서 추가 상승을 보고 있습니다.

    👆 비트파이넥스 일봉, 코로나 빔 이후의 장기 상승 추세선

    어제 장기 하락추세선에 대한 리테스트를 코인베이스와 비트파이넥스가 완벽하게 해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위 차트에 표시된 상승추세선은 코로나빔 저점으로 부터 올라오는 장기 상승추세선 입니다.
    6월경 하방이탈 후 리테스트 까지 마쳤고
    그 이후 추가 하락이 있었지만, 현재는 다시 밀어올린 상황입니다.
    어제의 저점 또한 해당 상승추세선을 밟고 반등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4시간 프레임으로 확대한 차트

    결과론적으로는 어제 새벽의 저점 반등은 장기 하락추세와 장기 상승추세선에 대한 리테스트가
    한번에 완료 된 반등이다. 라고 결론지을 수 있습니다.

    👆 코인베이스 차트

    아쉽게도 코인베이스 기준으로는 아직 돌파하지 못하고 아래에서 힘을 내는 중입니다.

    다만 비트파이넥스 차트가 해당 추세선을 좀 더 제대로 인식하는 것 같으니
    비트파이넥스 기준으로 해석하겠습니다.


  • 그럼 매수에 대한 욕심은 적당히 버리겠습니다. 어디까지 올라가나요?
    제 퍼블리쉬를 보고 매수를 하신분들도 분명히 계실테고
    꼭 제 퍼블리쉬 덕분이 아니더라도 개인적으로 매수한 물량을 홀드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입니다.
    현재 상승이 어디까지 가느냐에 대한 궁금증이 많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일단 단기적으로 볼 수있는 목표치는 현재 구간 근처에서 직전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고
    헤드 앤 숄더 패턴을 완성시키러 가는 경로구요.
    이에 대한 설명은 위에 충분히 드렸으니 차트 첨부를 패스합니다.

    두번째로 제가 보고 있는 중-장기 목표값에 대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바이낸스 현물

    👆 바이낸스 선물

    👆 비트파이넥스

    👆 코인베이스

    해당 추세를 어떻게 그었는지는 화살표로 모두 마킹을 해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올해 1월의 고점에서 이어지는 내심 추세선 입니다.
    다만 고점으로부터 시작되는 출발지점은 모두 동일하지만
    이후 4월 ~ 5월에서 형성된 저점의 기준이 조금씩 상이해서
    추세선을 두개씩 그어놓았습니다.

    그리고 차트에 표기된 피보나치 비율은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 툴을 이용해 7월 저점 - 8월 초의 고점과 저점을 이은 값이며
    바이낸스 선물은 숏 스퀴즈로 인한 청산빔이 등장했으므로
    8월 초의 고점을 다른 거래소와 동일한 시점을 기준으로 작도하였습니다.

    위 네 차트를 보시면 거래소마다 조금은 차이가 있지만

    1. 아래 추세선이 지나가는 지점과 피보나치 0.786이 교차하는 지점은 약 50,000$ ~50,100$ 구간
    2. 윗 추세선이 지나가는 지점과 피보나치 1.000이 교차하는 지점은 약 54,000$ ~ 54,500$ 구간

    두가지 공통 사항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저는 해당 가격대 까지의 상승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위 네가지 차트를 보고 "이게 뭔 개떡같은 추세와 작도야?" 라고 반문하시는 분들이 있을 수 있는데요
    지난 퍼블리쉬 (에서

    이 차트 부분을 읽어보시면 이해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정리

    무튼 , 정리를 드리자면
    현재 상승 추세의 최종 목표지점은 짧게는 50,000$ 구간
    길게는 54,000$ 구간까지를 목표로 잡고 있습니다.

    물론 제가 보는 가격까지 직진으로 갈지 조금 돌아서 갈지는 모르겠지만
    10월이 오기 전까지 해당 가격까지의 상승을 바라보고 있고
    개인적으로는 돌파한 하락 추세의 리테스트 구간이 마지막 매수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1. 단기적으로 하락형 패턴인 헤드 앤 숄더가 보인다는 점
    2. 최근 기사가 추세의 상방 돌파 또는 하방 이탈 후 재차 꽂거나 말아올리며 불트랩/베어 트랩을 자주 줬다는 점

    두 가지 근거를 토대로 한번 더 매수 기회가 올 수도 있겠다. 정도로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제가 트레이딩뷰 퍼블리쉬를 하면서 수차례 말씀드렸지만

    상승 시나리오 OR 하락 시나리오를 머릿속에 그려두고 따라서 매매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내가 생각하는 반대 시나리오를 한두개쯤 가지고 매매하는 것과, 오직 내가 생각하는 메인 시나리오만 생각하며
    매매하는 것은 천지차이 입니다.

    내 관점이 틀렸을 경우를 대비해서 다른 경로 한두개쯤은 그려놔야 대응이 쉽거든요.
    아무런 생각 없이 장대를 때려맞는 것과 어느정도 마음의 준비를 해놓고 맞는 것은 차이가 확실히 납니다.


  • 맺으며
    오늘은 가격 차트에 대한 내용이 조금 길면서도 또 제가 쓰는 보조지표 관점의 내용은 모두 빼놨기 때문에
    어쩌면 단순하고 어쩌면 복잡하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길면 열흘, 짧으면 일주일 내로 한번 방향이 터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음 퍼블리쉬까지 꼭 좋은 수익 거두시길 빕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Комментарий:
헤드 앤 숄더는 파훼되었습니다
현 위치에서 약 조정후 재차 상승하는 모습을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Комментарий:
주봉 베이스라인 위에서 마감하는지 아래에서 마감하는지
확인 후 포지션을 진입하면 더 안정적인 수익을 볼 수 있겠습니다

공개 채널 t.me/edchart
Отказ от ответственности

Все виды контента, которые вы можете увидеть на TradingView, не являются финансовыми, инвестиционными, торговыми или любыми другими рекомендациями. Мы не предоставляем советы по покупке и продаже активов. Подробнее — в Условиях использования Trading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