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endar

[캘린더] 초장기 추세선과 다이버전스의 반복, 중간의 4900달러대의 저항 자리들(11월 22일)

Calendar Обновлено   
BITFINEX:BTCUSD   Биткоин
안녕하세요. 캘린더입니다.

카포크커브는 -38 정도 되었고 어제 말씀드린 약간의 상승 다이버전스로 약간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과거부터 이어졌던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한 반복 하락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초장기 추세선을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1월 21일 수요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22일 목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볼린저 밴드의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 밑에 있기 때문에 반등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은 자리이며
현재는 5200대에 있습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양봉 팽이형 캔들이 출현하게 되었지만 아직까지 상승 반전형 캔들이 출현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상승 반전형 캔들이 출현하고나서 확인 매매에 들어가도 늦지 않습니다.


3. 장기 추세선
비트코인 시장의 장기 추세선에서 파란 추세선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조금만 더 확대해서 보자면

앞서 지지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파란 추세선은 매수와 손절에 대한 기준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4.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과거 저점들이 모두 저항을 받을 예정입니다.


5.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저항받을 S3에 대해 저항을 테스트 중에 있으며 현재 가격대는 BTCUSD 기준으로 4795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6.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현재 5500대에 저항이 출현한 상태입니다.
오실레이터의 과매도권에서 반등이 나올 수 있으며 아직까지 일봉에선 상승 다이버전스가 출현하진 못한 상태입니다.
바닥권을 잡고 싶지만 보수적인 입장에선 기다려볼 수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일봉의 EMA에서 21 EMA의 저항을 받을 수 있으며 현재엔 4909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8.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Aroon 지표에선 아직도 하락 추세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9.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4시간봉의 볼린저 밴드 저항받을 베이스라인은 4908달러에 있어 21 EMA와 비슷한 자리에 있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고 5088달러 부근에 있으며
오실레이터에선 어제 상승 다이버전스에 의해 상승 뒤에 현재 하락 다이버전스의 여력이 남아있습니다.
RSI에서 36을 넘어가면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11.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4시간봉의 21 EMA 또한 4909달러 부근에 있어 4900달러대에 저항이 많음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12. 카포크 커브
카포크 커브에선 현재 -38입니다.
-40 이하를 찍으면 다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인다고 알려져있습니다.


13. 김프, 환율, SFD
김프: 2.1%
환율: USD 1129.6원 JPY 9.99원
SFD: -0.2%
Комментарий:
대응 방안
아직도 하락 추세를 이어나간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지지보다 저항이 많고 상승장이 오고 전 고점에 가는데 오래 걸릴 것이란 것에는 대부분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현재 자리에선 앞서 비트코인 시장의 가장 큰 추세선인 3번의 추세선을 한번 지켜준 모습입니다. 이 추세선에 대해 매수의 기준을, 종가를 기준으로 손절의 기준을 잡을 수 있습니다.

어제 말씀드린 상승 다이버전스에 의해 일부 상승하긴 하였지만 예전 계단식 하락때와 마찬가지로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한 반복 하락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이는 고점을 5021달러보다 높여야 하는데 일봉의 21 EMA, 볼린저밴드의 베이스라인, 4시간봉의 21 EMA가 중간에 4900달러대에서 저항으로 자리잡고 있어 방해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즉, 주봉의 볼린저 밴드든 과매도권의 지표들을 보았을 때 반등의 가능성은 있지만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를 무효화하기 전까진 계단식 움직임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카포크 커브는 -38에 있어 이틀 정도 걸릴 듯 합니다.

* 차트 강의(캘린더의 차트초등학교)
youtu.be/vYllzSf1VpA

* 블로그
www.calendarta.com/
Отказ от ответственности

Все виды контента, которые вы можете увидеть на TradingView, не являются финансовыми, инвестиционными, торговыми или любыми другими рекомендациями. Мы не предоставляем советы по покупке и продаже активов. Подробнее — в Условиях использования TradingView.